Institute for
Gender and Affect Studies
소개
인사말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는 젠더 연구와 어펙트(정동, affect) 연구를 결합한 새로운 연구 분야와 방법론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2018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인문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인문학 전공 연구자와 학생을 지속적으로 양성·재생산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삼고 있습니다.
젠더·어펙트연구소는 자생적으로 활동해 온 대안 연구 모임을 모태로 하는 점에서 여타 대학 부설 연구소와 구별됩니다. 지역의 학문 재생산 방식을 변화시키고자 꾸준히 노력해 온 대안 연구모임 아프콤(aff-com)의 연구와 실천이 대학 제도 내에서 젠더·어펙트연구소로서 결실을 본 것입니다. 아프콤은 2011년부터 꾸려온 대안 공간이자 연구모임으로, 어펙트 연구를 지역의 학문 및 문화 실천에 접속시키고 대학의 안과 바깥을 새롭게 연결하는 이론과 활동을 지속해 왔습니다. 아프콤을 통해 마련된 대학의 안과 바깥을 연결하는 대안 제도를 토대로, 젠더·어펙트연구소는 교육, 연구, 인력 재생산 모델 및 젠더·어펙트 전문가 인력의 국제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구성원
구분 | 성명 | 소속 | 직위 | 전공 | 내용 |
연구책임자 | 권명아 |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 | 교수 | 문학 역사학 젠더학 |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근현대 문학과 젠더 이론, 정동 연구, 문화 이론 등 학문 영역을 넘나드는 연구와 함께 지역의 문화적 실천에도 주력해왔다. 「한국과 일본에서의 반헤이트 스피치 운동과 이론에 대한 비교 고찰」, 「증강 현실적 신체를 기반으로 한 대안기념 정치 구상」 등의 논문을 썼으며, 주요 저서로 『여자떼 공포, 젠더 어펙트: 부대낌과 상호 작용의 정치』(갈무리, 2018), 『무한히 정치적인 외로움: 한국 사회의 정동을 묻다』(갈무리, 2012) 등이 있다. cama9@hanmail.net |
소속 | 전공 | |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 | 문학 역사학 젠더학 | |
내용 | ||
근현대 문학과 젠더 이론, 정동 연구, 문화 이론 등 학문 영역을 넘나드는 연구와 함께 지역의 문화적 실천에도 주력해왔다. 「한국과 일본에서의 반헤이트 스피치 운동과 이론에 대한 비교 고찰」, 「증강 현실적 신체를 기반으로 한 대안기념 정치 구상」 등의 논문을 썼으며, 주요 저서로 『여자떼 공포, 젠더 어펙트: 부대낌과 상호 작용의 정치』(갈무리, 2018), 『무한히 정치적인 외로움: 한국 사회의 정동을 묻다』(갈무리, 2012) 등이 있다. cama9@hanmail.net |
소속 | 전공 | |
인제대학교 리버럴아츠칼리지 (i-LAC) 리버럴아츠교육학부 | 국어국문학 (고전문학) | |
내용 | ||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고전문학(구비문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제대학교에서 글쓰기와 이야기 문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 ‘잘 읽고 잘 쓰는 연구소’를 만들어 함께 행복하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구비문학, 여성, 생태, 공동체, 사회적 경제 문제에 관심을 갖고 글을 쓰고 있다. 최근에는 청년들과 함께하는 마을 문화 만들기 사업을 기획하고 있다. 「보살핌의 윤리로 본 바리 신화 연구-전라도 전승본의 ‘구약 거부’와 ‘언니 옷 입기’ 모티프를 중심으로」, 「집안 여성을 기억하는 방식-연경재 성해응의 여성 기록을 중심으로」 등의 논문을 발표했고, 공저로는 『경계에 선 유교 지식인의 여성 담론』(월인, 2017), 『19세기 20세기 초 여성 생활사 자료집』(보고사, 2013) 등이 있다. rati@inje.ac.kr |
소속 | 전공 | |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 젠더사회학 | |
내용 | ||
페미니스트 역사와 시간성, 인종정치학에 관심을 갖는다. 미국 제2물결 페미니즘과 이후의 역사 쓰기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최근 한국사회의 페미니즘 재부상에 대해 연구하면서 페미니스트 이론과 실천이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에 대한 질문들을 탐색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페미니즘 정치학, 역사적 시간, 그리고 인종적 차이」, 「혐오의 정동경제학과 페미니스트 저항」 등이 있고, 공저로 『교차성×페미니즘』(여이연, 2018)이 있다. bomyung@gmail.com |
소속 | 전공 | |
동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사회복지학 | |
내용 | ||
주요 교육 분야로 사회복지실천, 노인복지,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질적연구방법론 등이 있다. 가정폭력을 주제로 한 연구와 더불어 여성노인의 구술생애사 연구를 통해 노동, 빈곤, 이주 등으로 연구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여성노인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1980년대 중산층 국제이주가족의 계층 재생산 전략과 젠더역할의 변화」,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자녀에 대한 친권자 및 양육권자 결정 경험」 등이 있다. 공저로 『‘조국 근대화’의 젠더정치』(아르케, 2015), 『가족과 친밀성의 사회학』(다산출판사, 2014)이 있다. eonjupark@gmail.com |
소속 | 전공 | |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 한국근대사 여성사 | |
내용 | ||
한국 근현대 가족사, 사회사, 여성사, 마이너리티 역사를 전공했다. 주요 논문으로 「Collaboration au féminin en Corée」, 「식민지시기 ‘불량소년’ 담론의 형성」, 「'만들어진 전통'으로서의 동성동본금혼제와 식민정치」, 「식민지 조선에서 ‘불구자' 개념의 형성과 그 성격」, 「전쟁고아들이 겪은 전후: 1950년대 전쟁고아 실태와 사회적 대책」 등이 있으며, 저서로 『이혼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들: 근대적 이혼제도의 도입과 젠더』(역사비평사, 2017), 공저로 『일상사로 보는 한국근현대사: 한국과 독일 일상사의 새로운 만남』(책과함께, 2006), 『식민지 공공성: 실체와 은유의 거리』(책과함께, 2010), 『日韓民衆史硏究の最前線』(有志舍, 2015) 등이 있다. sosimzee@gmail.com |
소속 | 전공 | |
연세대학교 매체와예술연구소 | 영상문학 한국영화사 영화 및 문화연구 | |
내용 | ||
한국영화, 동아시아 극장 문화와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상관성, 감각의 사회문화사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주요 논문으로 「전쟁과 연예」, 「‘더 많은’ 모두를 위한 영화」, 「할리우드에서 온 ‘왜색영화’」 등이 있다. 저서로 『소리의 정치』(현실문화, 2016), 『조선 영화』(책세상, 2005)가 있고 공저로 『조선영화와 할리우드』(소명출판, 2014), 『조선영화란 하(何)오』(창비, 2016), 『할리우드 프리즘』(소명출판, 2017), 『원본 없는 판타지』(후마니타스, 2020) 등이 있다. mysleepwalk@naver.com |
소속 | 전공 | |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 문화연구 젠더연구 저널리즘 | |
내용 | ||
미디어와 젠더에 관해 연구한다. 주요 논문으로 「미투 운동(#Metoo) 관련 TV 보도의 새로운 가능성과 한계」, 「1960~1970년대 한국 신문의 상업화와 여성가정란의 젠더 정치」, 「1920년대 『동아일보』 기사에 나타난 이성-감정」 등이 있다. 공저로 『다시 보는 미디어와 젠더』(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3), 『한국신문의 사회문화사』(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한국텔레비전 방송 50년』(커뮤니케이북스, 2011) 등이 있다. yschoi@dau.ac.kr |
소속 | 전공 | |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 한국현대문학 대중문화 | |
내용 | ||
미디어와 한국 현대문학/문화의 관계, 특히 한국과 일본의 드라마와 대중문화를 대상으로 테크놀로지와 정동의 문제틀을 적용시킨 연구들을 주로 수행하고 있다. 「텔레비전 현상과 현대 드라마의 미학」, 「기계의 애니미즘 혹은 노동자의 타나톨로지 - 1970년대 한국의 테크노스케이프와 생명, 신체, 감각」, 「‘관계론적 존재론’의 정동학 - 텔레비전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 나타난 연결과 의존의 문제」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jaime0323@hanmail.net |
소속 | 전공 | |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 대중문화 PR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 |
내용 | ||
미디어, 젠더, 광고, PR, 대중문화, 소셜미디어 등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미디어 격차』(공저), 『한국 에로비디오의 사회사: 애마부인에서 소라넷까지』(공저), 『여성학 강의-일곱 번째 이야기』(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증언과 저널리즘: <JTBC 뉴스룸>의 성폭력 피해자 생방송 인터뷰 분석」, 「노인들의 SNS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유튜브 육아’ 연구-육아 과정에서 어머니의 유튜브 이용과 통제」, 「공공기관의 소셜미디어 PR효과: 부산경찰 페이스북 이용자의 메시지 인식, 효능감 및 신뢰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green717@nate.com |
소속 | 전공 | |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 영화 및 문화연구 한일 비교연구 | |
내용 | ||
주로 해외입양인에 대한/의한 표상에 주목하여 문화연구를 하고 있다. 근대 이후의 가족 제도와 관념으로 인해 소외된 여성이나 아동, 혼혈인에 대한 문제를 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정동의 시점을 도입한 방법론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 「한국계 해외입양인의 영상표현을 통해 보는 생모찾기의 표상(韓国系国際養子の映像表現にみる生母探しの表象)」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에서의 해외입양인의 가족찾기의 표상 (韓国における国際養子と家族探しの表象)」, 「대중영화 속 여성 표상과 초국적페미니즘 연대의 전망 -영화 <박열>에 나타난 가네코 후미코의 표상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moriyarima@gmail.com |
공동연구원 | 강성숙 | 인제대학교 리버럴아츠칼리지 (i-LAC) 리버럴아츠교육학부 | 교수 | 국어국문학 (고전문학) | 인제대학교 리버럴아츠칼리지 교수. 2018년부터 ‘잘 읽고 잘 쓰는 연구소’를 만들어 함께 행복하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고전문학(구비문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구비문학, 여성, 생태, 공동체, 사회적 경제 문제에 관심을 갖고 글을 쓰고 있다. 「보살핌의 윤리로 본 바리 신화 연구-전라도 전승본의 ‘구약 거부’와 ‘언니 옷 입기’ 모티프를 중심으로」, 「집안 여성을 기억하는 방식-연경재 성해응의 여성 기록을 중심으로」 등의 논문을 발표했고, 공저로는 『경계에 선 유교 지식인의 여성 담론』(월인, 2017), 『19세기 20세기 초 여성 생활사 자료집』(보고사, 2013) 등이 있다. rati@inje.ac.kr |
박언주 | 동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교수 | 사회복지학 | 동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주요 교육 분야는 사회복지실천, 노인복지,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질적연구방법론 등이다. 가정폭력을 주제로 한 연구와 여성노인의 구술생애사 연구를 수행해왔다. 주요 논문으로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자립경험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informal support on battered women’s use of formal services」 등이 있다. 공저로 ‘조국 근대화’의 젠더정치(아르케, 2015), 가족과 친밀성의 사회학(제2판)(다산출판사, 2023)이 있다. eonjupark@gmail.com | |
이소영 | 한국과학기술원(KAIST) | 강사 | 젠더사회학 | 페미니스트 역사와 시간성, 인종정치학에 관심을 갖는다. 미국 제2물결 페미니즘과 이후의 역사 쓰기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최근 한국사회의 페미니즘 재부상에 대해 연구하면서 페미니스트 이론과 실천이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에 대한 질문들을 탐색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페미니즘 정치학, 역사적 시간, 그리고 인종적 차이」, 「혐오의 정동경제학과 페미니스트 저항」 등이 있고, 공저로 『교차성×페미니즘』(여이연, 2018)이 있다. bambiesyl@gmail.com | |
이화진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글로벌한국학연구소 | 연구교수 | 영상문학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연구교수. 한국의 영화와 극장 문화에 대해 연구해왔다. 주요 논문으로 「가난은 어떻게 견딜 만한 것이 되는가 - 영화 <저 하늘에도 슬픔이>(1965)와 빈곤 재현의 문화 정치학」, 「‘더 많은’ 모두를 위한 영화―배리어프리 영상과 문화적 시민권」, 「할리우드에서 온 ‘왜색영화’ - <8월 15야(夜)의 찻집>과 탈식민 냉전 한국의 영화 검열」 등이 있다. 저서로 『소리의 정치』(현실문화, 2016), 『조선 영화』(책세상, 2005)가 있고 공저로 『조선영화와 할리우드』(소명출판, 2014), 『조선영화란 하(何)오』(창비, 2016), 『할리우드 프리즘』(소명출판, 2017), 『원본 없는 판타지』(후마니타스, 2020) 등이 있다. mysleepwalk@naver.com | |
최이숙 |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 조교수 | 문화연구 젠더연구 저널리즘 |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주로 페미니즘 시각의 문화연구, 저널리즘 연구를 해왔으며, 최근에는 팬데믹 이후 언택트로의 전환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팬데믹 시기 한국사회는 아이들을 잘 돌봐왔는가?: 초등 돌봄 제도와 원격 교육을 중심으로」(공저), 「“우리는 더디지만 나아가고 있다”: 미투 운동(#Metoo) 이후 성평등 보도를 위한 한국 언론의 실천과 과제」(공저), 「미투 운동(#Metoo) 이후 젠더 이슈 보도의 성과와 한계」(공저), 「1960~1970년대 한국 신문의 상업화와 여성가정란의 젠더 정치」(2015) 등이 있다. 공저로 MBC 60년 영광과 도전(한울, 2021), 다시 보는 미디어와 젠더(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3), 한국신문의 사회문화사(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등이 있다. yschoi@dau.ac.kr |
연구교수 | 소현숙 |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 연구교수 | 한국근대사 | 젠더·어펙트연구소 조교수. 한국 근현대 가족사, 사회사, 젠더사, 마이너리티 역사를 전공했다. 주요 논문으로 「식민지 조선에서 ‘불구자’ 개념의 형성과 그 성격」, 「전쟁고아들이 겪은 전후: 1950년대 전쟁고아 실태와 사회적 대책」, 「마이너리티 역사, 민중사의 새로운 혁신인가 해체인가?」 등이 있으며, 저서로 『이혼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들: 근대적 이혼제도의 도입과 젠더』(역사비평사, 2017), 공저로 『日韓民衆史硏究の最前線』(有志舍, 2015), 『從臺灣與朝鮮 反思日本的殖民統治』(中央硏究院臺灣史硏究所, 2021) 등이 있다. sosimzee@gmail.com |
전임연구원 | 권두현 |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 전임연구원 | 한국현대문학 대중문화 한일비교연구 | 젠더·어펙트연구소 전임연구원. 동국대에서 강의한다. 미디어와 한국 현대문학/문화의 관계, 특히 드라마 및 각종 대중문화를 대상으로 언어 너머에서 몸이 하는 다양한 일들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관계론적 존재론’의 정동학 - 텔레비전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 나타난 연결과 의존의 문제」, 「물질적-존재론적 지도 그리기 - 드라마 한류의 텔레-공화국 또는 수용소 체제」, 「감성주의적 생명정치와 크래프트의 프락시오그라피 -‘해녀’와 ‘아마’의 정동지리적 비교 연구」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jaime0323@hanmail.net |
이지행 |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 전임연구원 | 대중문화 미디어 연구 팬덤연구 | 기술 발전에 대응해 변화하는 동시대 대중문화 콘텐츠와 수용자 속성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이에 따른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연구, 팬덤연구, 파국감정 관련 연구를 진행해 왔다. 저서로 『BTS와 아미컬처』(커뮤니케이션북스, 2019)와 『BTSとARMY わたしたちは連帯する』(イースト・プレス, 2021), 공저인 <페미돌로지>(2022, 빨간소금)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 「팬데믹 시대 한국 재난영화의 쟁점」, 「서구 미디어의 지배담론에 대한 방탄소년단 글로벌 팬덤의 대항담론적 실천 연구」, 「뉴미디어와 여성의 장소」, 「한국 판타지 드라마의 현재: 초인과 타임슬립 모티프의 명암」, 「연쇄하는 재난의 세계를 건너기: 묵시록적 포스트모던 재현의 양상」 등이 있다. junelee74@naver.com | |
이지현 |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 전임연구원 | 일본현대문학 전쟁문학 식민지문학 | 동아대 젠더어펙트연구소 전임연구원, 일본근현대문학, 특히 전쟁문학과 식민지 문화를 내셔널리즘과 젠더를 테마로 하여 연구하고 있다. 일본 오차노미즈여자대학(お茶の水女子大学) 대학원에서 비교사회문화학을 전공하고 학술박사 학위를 받았다. 부산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대중문화에 나타난 일본 내셔널리즘 표현구조-미야자키 하야오의 <바람이 분다>를 중심으로-」(2020), 역서에 『여자가 국가를 배반할 때』(하우, 2018) 『일본 명단편선』(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등이 있다. moriyarima@gmail.com |
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