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itute for
Gender and Affect Studies
공지
공지 사항
디지털 인문학 연구-교육과 정동이론 세미나 개최 안내
오는 3월 18일부터 6월 10일까지 총 7회차에 걸쳐
"네트워크형 디지털 인문학 교육 모델 연구"팀이 주최하고
UNIST 디지털 인문학 센터와 동아대 젠더·어펙트 연구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교육과 정동이론 세미나>가 개최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텍스트에 산재한 인간의 감정을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
수량적 문학 분석의 방법의 하나인 감성 분석은 주로 감정값이 매겨진 감성어휘의 빈도와 분포를 측정하여
서사 내 주인공이 겪는 감정의 흐름을 추적한다.
물론 이 방법은 작품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지만
어휘로 표현된 감정만을 측정하는 것이기에 해석이 제한적이다.
반면 정동이론은 외부에서 신체의 감정을 촉발한 계기를 하나의 사건으로 보고
이 사건의 관계를 정치적, 사회적, 역사적, 물질적, 문화적, 포스트식민지적 등의 측면에서 파악한다.
정성적 해석이 읽기의 주요방법이다.
언뜻 보아도 거리가 멀어 보이는 감정에 관한 두 방법론을 상보적으로 연결할 수 없을까?
본 세미나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첫걸음으로 정동연구 이론에 관한 웨비나를 진행하고자 한다.
◎ 주최: “네트워크형 디지털 인문학 교육 모델 연구”팀
◎ 주관: UNIST 디지털 인문학 센터, 동아대 젠더·어펙트 연구소
◎ 웹페이지: https://network-education-model.notion.site/dh-affection
◎ 줌 링크: https://unist-ac-kr.zoom.us/j/5075987386?pwd=sXeYQEo56nOV5TVyOkz5q4yuUnZX5P.1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관련 자료를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행사는 매 회차 오후 8시마다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을 통해 진행됩니다.
젠더·어펙트연구소
(49315)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550번길 37(하단동)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S01-1105 젠더·어펙트연구소
TEL : 051-200-5782~3 E-MAIL : genderaffect@gmail.com
오는 3월 18일부터 6월 10일까지 총 7회차에 걸쳐
"네트워크형 디지털 인문학 교육 모델 연구"팀이 주최하고
UNIST 디지털 인문학 센터와 동아대 젠더·어펙트 연구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교육과 정동이론 세미나>가 개최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텍스트에 산재한 인간의 감정을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
수량적 문학 분석의 방법의 하나인 감성 분석은 주로 감정값이 매겨진 감성어휘의 빈도와 분포를 측정하여
서사 내 주인공이 겪는 감정의 흐름을 추적한다.
물론 이 방법은 작품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지만
어휘로 표현된 감정만을 측정하는 것이기에 해석이 제한적이다.
반면 정동이론은 외부에서 신체의 감정을 촉발한 계기를 하나의 사건으로 보고
이 사건의 관계를 정치적, 사회적, 역사적, 물질적, 문화적, 포스트식민지적 등의 측면에서 파악한다.
정성적 해석이 읽기의 주요방법이다.
언뜻 보아도 거리가 멀어 보이는 감정에 관한 두 방법론을 상보적으로 연결할 수 없을까?
본 세미나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첫걸음으로 정동연구 이론에 관한 웨비나를 진행하고자 한다.
◎ 주최: “네트워크형 디지털 인문학 교육 모델 연구”팀
◎ 주관: UNIST 디지털 인문학 센터, 동아대 젠더·어펙트 연구소
◎ 웹페이지: https://network-education-model.notion.site/dh-affection
◎ 줌 링크: https://unist-ac-kr.zoom.us/j/5075987386?pwd=sXeYQEo56nOV5TVyOkz5q4yuUnZX5P.1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관련 자료를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행사는 매 회차 오후 8시마다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을 통해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