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itute for

Gender and Affect Studies

공지

  공지 사항

2021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제2회 국제학술대회 “연결 가능성과 불가능성의 신체 사유에 대한 비교역사 연구” 안내

젠더어펙트연구소
2020-12-29
조회수 1656



- 일정: 2021년 1월 7일 (목) ~ 9일 (토)

-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 줌(Zoom)

- 주최: 젠더·어펙트연구소

- 지원: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

- 화상회의 줌(Zoom) 접속 링크:

1일차:  https://us02web.zoom.us/j/81083387610 

2일차:  https://us02web.zoom.us/j/87099099373 

3일차:  https://us02web.zoom.us/j/81780871228 

  


<모시는 글>


2021년 1월 7일 목요일부터 1월 9일 토요일까지,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소장 권명아)가 주최·주관하고,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그리고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가 지원하는 국제학술대회가 개최됩니다.

“연결 가능성과 불가능성의 신체 사유에 대한 비교역사 연구”를 주제로 하는 이번 학술대회는

수용소 체제의 역사와 지형, 삶과 죽음을 생산하는 젠더·어펙트, 연결신체의 장치와 형상들,

격리의 냉전 질서와 젠더지리를 함께 논의하는 자리가 될 예정입니다.


젠더·어펙트연구소는 ‘연결’과 ‘의존’이라는 화두로

현대사회의 개인 및 공동체와 관련된 사회·문화적 의제를 발굴·연구하고 있습니다.

정동(情動, affect)과 젠더의 연구방법을 결합하여

주체와 몸, 삶과 죽음, 질병, 장애, 소수자, 포스트휴먼 등에 대한 인문학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시도하며,

사회학, 사회복지학, 장애학, 여성학, ‘위안부’ 연구, 고전·현대문학, 영화, 미디어‧테크놀로지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 및 활동가들이 연구소의 전문연구원 및 자문단으로 협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소는 현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을 통해 “연결신체 이론과 젠더·어펙트 연구”라는

다년간의 연구과제 및 관련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매년 국내학술대회와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젠더·어펙트스쿨, 인터내셔널 젠더·어펙트스쿨 외 상시적으로 콜로키움을 기획·개최하고,

연구총서와 웹진 발간 등의 사업도 추진중입니다.


프리모 레비는 역사적 파시즘 시기 만들어진 수용소를 하나의 장소가 아닌 체제(수용소 체제)로 보아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한국의 경우, 일제강점기 형태를 갖춘 수용소는 해방 후 더 많은 방식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수용소 체제를 연구하는 것은 그런 점에서 수용소라는 물질적 형태의 설립, 운영,

이를 둘러싼 논의 지형만이 아니라, 수용, 배제, 격리에 대한 담론과 이데올로기 구조를 연구하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일제강점기에서 냉전체제에 이르는 수용소 체제에 대한 담론을 비교 연구하고,

이를 신체 정치 차원에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학술대회는 온라인 화상회의 줌(Zoom)을 이용해 개최됩니다.

‘젠더·어펙트’와 관련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와 작업을 이어가고 있는

국내외 유수의 전문 활동가 및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이번 행사를 통해,

연결 가능성과 불가능성의 신체 사유와 실천의 역량이 대학과 지역사회를 넘어 다양한 방식으로 확산될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장 권명아 드림




[1일차] 1월 7일(목) https://us02web.zoom.us/j/81083387610


12:30 – 13:00 등록

13:00 – 13:10 개회사 : 권명아 (젠더·어펙트연구소장), 이국환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장)


1부 ‘수용소 체제’의 역사와 지형


13:10 – 14:00 ‘수용소 체제’의 격리와 신체 정치

발표 : 권명아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젠더·어펙트연구소장)

토론 : 루인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


14:00 – 14:50 탈시설화와 돌봄

발표 : 박언주 (동아대학교)

토론 : 김영옥 (생애문화연구소 ‘옥희살롱’)


14:50 – 15:00 휴식


15:00 – 15:50 형벌-복지연계와 젠더화된 신체/노동력의 시설화

발표 : 황지성 (서울대학교)

토론 : 김대현 (연세대학교)


15:50 – 16:40 “Prove you are cured”: Village-building and the carceral politics of ‘inactive’ leprosy after the Korean War

발표 : 김현철 (토론토대학교)

토론 : 정현주 (서울대학교)


16:40 – 17:00 휴식


17:00 – 18:00 종합토론 / 사회 : 나영정 (장애여성공감)


[2일차] 1월 8일(금) https://us02web.zoom.us/j/87099099373


2부 삶과 죽음을 생산하는 젠더·어펙트


10:00 – 10:50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시체-되기’의 죽음정치와 젠더지리: 󰡔아주 오래된 농담󰡕을 중심으로

발표 : 권영빈 (젠더·어펙트연구소)

토론 : 차미령 (광주과학기술원)


10:50 – 11:40 여아낙태의 역사를 통해 보는 ‘정상가족’에의 욕망과 태아 선별의 의료기술

발표 : 소현숙 (한국학중앙연구원)

토론 : 이정선 (조선대학교)


11:40 – 13:00 휴식


13:00 – 13:50 여성안전과 난민인권의 만남과 충돌: 권리의 정치학에 대한 시론적 사유

발표 : 김보명 (부산대학교)

토론 : 전의령 (전북대학교)


13:50 – 14:40 로컬산업과 여성노동자의 삶-노동의 구조

발표 : 신민희 (경성대학교)

토론 : 김원 (한국학중앙연구원)


14:40 – 15:40 Mrs. Pants’ Modes of Life: Queer Affect and Reparative Turn in Troublers and Small Talk

발표 : 첸페이전 (정치대학교)

토론 : 나영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


15:40 – 16:00 휴식


16:00 – 17:00 종합토론 / 사회 : 김순남 (가족구성권연구소)


[3일차] 1월 9일(토) https://us02web.zoom.us/j/81780871228


3부 연결신체의 장치와 형상들


09:30 – 10:20 연결 불가능한 정념의 신체, 상사뱀과 16세기 사림의 정치 지형

발표 : 강성숙 (인제대학교)

토론 : 정규식 (동아대학교)


10:20 – 11:10 Encountering ‘V’: 에일리언 현상학 또는 퀴어 현상학의 냉전 신체

발표 : 권두현 (젠더·어펙트연구소)

토론 : 손희정 (연세대학교)


11:10 – 12:00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과 친밀성의 변동

발표 : 최이숙 (동아대학교) · 김반야 (서울대학교)

토론 : 김해원 (이화여자대학교)


12:00 – 13:00 휴식


4부 격리의 냉전 질서와 젠더지리


13:00 – 13:50 “거리의 소년들”의 구호와 격리: 해방 후 부랑아 담론과 고아원/감화원 영화

발표 : 이화진 (인하대학교)

토론 : 공임순 (서강대학교)


13:50 – 14:40 기지촌의 안과 밖으로 격리된 여성 서사: 기지촌 여성과 혼혈인, 해외입양인을 잇는 영상 표현 분석

발표 : 김이진 (히토쓰바시대학)

토론 : 김아람 (한림대학교)


14:40 – 15:00 휴식


16:00 – 17:00 종합토론 / 사회 : 신지영 (연세대학교)


17:00 – 17:10 폐회 : 권명아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젠더·어펙트연구소장)



젠더·어펙트연구소

(49315)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550번길 37(하단동)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S01-1105 젠더·어펙트연구소

TEL : 051-200-5782~3 E-MAIL : genderaffect@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