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itute for

Gender and Affect Studies

활동

[발제문] 제9차 정기 콜로키움-장애학과 존재론: 김도현, [장애학의 도전-변방의 자리에서 다른 세계를 상상하다]

젠더어펙트연구소
2020-03-26
조회수 1172


발제 문헌

  • 김도현, [장애학의 도전-변방의 자리에서 다른 세계를 상상하다], 오월의 봄, 2019.
구분제목발제자
1부  접속 1장   장애학, 지금 여기의 콜라보 미션
 2장   '손상'은 어떻게 '장애'가 되는가
권도현

 책을 내며김나영
2부  성찰 3장   우생학의 시대는 끝나지 않았다
 4장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 해방인가 또 다른 차별인가
 5장   장애인에게 정의란 무엇인가: 장애 정치의 시선으로 프레이저의 정의론 읽기
권영빈
3부  전환 6장   당사자주의의 환상을 넘어 횡단의 정치로: 장애인 당사자주의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7장   자립과 의존의 이분법을 넘어 공생의 세계로
김대성
4부  도전 8장   자기결정권, 나와 너 '사이'의 권리
 9장   모두를 위한 노동사회를 위하여
신민희


젠더·어펙트연구소

(49315)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550번길 37(하단동)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S01-1105 젠더·어펙트연구소

TEL : 051-200-5782~3 E-MAIL : genderaffect@gmail.com